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이 본격화하면서 금일(22.11.11.)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이틀째 5만 명대 중반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독감에 대한 모든 것, 증상/예방/전염/치료/코로나와 독감 구분
코로나19 유행 이후 처음으로 독감 유행 주의보가 발령되었습니다. 독감 예방을 위해 예방접종에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독감에 대한 다양한 궁금증을 해소해보려고
blog.som-mong.com
어느새 코로나19 팬데믹 2년째, 유행이 시작되면서 수많은 반려동물 보호자들이 반려동물 감염 가능성에 대해 우려했는데요. 유행 초반에는 반려동물의 코로나19 감염은 가능성이 낮다는 얘기가 우세했습니다.
하지만 해외 각지에서 반려동물의 감염 사례가 생기면서 반려동물의 코로나19 검사와 격리조치, 증상과 치료 등에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반려동물의 코로나 검사 및 격리조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반려동물은 확진자와의 접촉에 의해 감염되므로 검사대상은 확진자에 노출되어 의심증상을 보이는 반려동물(개, 고양이)로 제한되며, 코로나19가 반려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된다는 증거가 없기 때문에 양성으로 판정된 반려동물은 별도 격리보다는 자택격리를 원칙으로 합니다.
1. 검사대상 선정
대상 동물
코로나19 확진자에 노출된 사실이 있으며 의심증상을 보이는 개 또는 고양이
의심증상
발열, 기침, 호흡곤란, 호흡기 분비물 증가, 구토, 설사 등
고양이 구토, 즉시 병원으로 가야하는 경우!
고양이의 구토는 흔한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저희 고양이도 종종 구토를 하지만 매번 병원에 가지는 않아요. 초보 집사 시절에는 놀라서 병원으로 달려갔었는데 함께 보낸 기간이 길어지다 보
blog1.som-mong.com
고양이 구토 유형별 증상, 대처법! 고양이 구토 색깔별 상태
고양이 구토 유형별 증상, 대처법! 고양이 구토 색깔별 상태
고양이의 구토는 흔한 증상 중에 하나입니다. 저희 고양이도 종종 구토를 하지만 매번 병원에 가지는 않아요. 초보 집사 시절에는 놀라서 병원으로 달려갔었는데 병원 가는 것 자체가 아이에게
blog1.som-mong.com
검사대상 선정절차
지자체 보건부서와 시도 동물위생시험소(17개 시도)가 합의하여 검사 여부 결정
- 지자체 보건부서 : 코로나19 확진자 역학조사 과정에서 의심증상을 보이는 반려동물이 확인되는 경우 동물 담당부서에 안내
- 동물위생시험소 : 검사의뢰가 있는 경우 관할 보건부서에 해당 반려동물의 코로나19 확진자와 접촉 여부, 의심증상 유무 등을 확인
* 검사 결과 판정 이전까지 반려동물의 외출을 금지하고 자택에 격리조치를 실행
검사대상에서 제외
- 반려동물은 확진자와의 접촉에 의해 감염
- 반려동물에서 사람으로 전파된 사례 없음
해외사례
- 미국 : 질병통제센터(CDC)와 농부무(USDA)는 동물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고 의심증상을 보이는 경우 외에는 검사를 권장하지 않음
- EU : 동물에 대한 검사는 과학적 연구 또는 조사목적용으로 제한
2. 시료채취·검사절차
시료채취
반려동물 소재 관할 시군(동물 담당부서)에서 시군 위촉 공수의 등을 활용하여 시료 채취
검사
반려동물에 대한 검사는 시도 동물위생시험소(17개 시도)에서 실시
행정기관에서 판단하여 실시하는 검사로 무상으로 실시
검사 확인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반려동물
- 코로나19 감염이 확인된 반려동물은 자가격리를 원칙으로 함
- 자택격리를 할 수 없는 경우, 지자체 여건에 따라 위탁보호 돌봄 서비스 활용(비용은 자부담 원칙, 가능한 경우 지자체 지원)
격리 해제 요건
양성 판정 14일 경과 후 또는 PCR 결과 음성인 경우
3. 격리기간 관리 수칙
격리
- 자택 격리할 경우 가족 중 한 사람을 지정하여 돌봄(고령자, 어린이, 기저질환자 제외)
- 다른 사람이나 반려동물로부터 분리된 별도 공간에 격리
- 동물병원 진료가 필요한 경우, 미리 전화로 수의사와 상담 후 동물병원 방문 여부 결정
접촉
- 격리 중인 반려동물 접촉 시 마스크와 장갑 착용
- 접촉 전·후 항상 손 씻기, 손 소독 등 개인위생 관리 철저
- 만지기, 끌어안기, 입 맞추기, 음식 나눠먹기 등 직접 접촉 자제
소독
- 격리 장소 청소 및 소독 시 반드시 마스크와 장갑을 착용하고 먼저 비누와 물로 표면을 세척한 후 소독제 사용
- 반려동물의 밥그릇, 장난감, 침구 접촉 및 배설물 처리 시 장갑을 착용하고 장갑·쓰레기·배설물은 봉지에 밀봉하여 배출
응급상황에 대비하자! 반려동물 심폐소생술, 심장마사지, CPR, 인공호흡 방법
응급상황에 대비하자! 고양이 심폐소생술, 심장마사지, CPR, 인공호흡 방법
반려동물과 함께 하는 것은 애정과 행복이 커지는 만큼 걱정거리도 늘어가는 일인 듯합니다. ‘갑자기 지진이 나면 우리 고양이는 어떡하지?’ 자연재해에 대한 걱정부터 ‘우리 강아지 갑자기
blog1.som-mong.com
지자체별 반려동물 위탁보호 돌봄 서비스 문의처(2021.2.2. 기준)
지자체 | 부서명 | 전화번호 | |
서울특별시 | 동물보호과 | 02-2133-7649 | |
대구광역시 | 중구 | 일자리경제과 | 053-661-2644 |
동구 | 경제지원과 | 053-662-2654 | |
서구 | 경제과 | 053-663-2644 | |
남구 | 시장경제과 | 053-664-2642 | |
북구 | 민생경제과 | 053-665-3194 | |
수성구 | 녹색환경과 | 053-666-2655 | |
달서구 | 경제지원과 | 053-667-2691 | |
달성군 | 농업정책과 | 053-668-3864 | |
인천광역시 | 농축산유통과 | 032-440-4379 | |
대전광역시 | 농생명정책과 | 042-270-3821 | |
울산광역시 | 농축산과 | 052-229-6851 | |
경기도 | 수원시 | 생명산업과 동물보호방역팀 | 031-228-3317 |
고양시 | 농산유통과 동물보호팀 | 031-8075-4258 | |
용인시 | 동물보호과 동물구조팀 | 031-324-3468 | |
성남시 | 지역경제과 동물자원팀 | 031-729-2614 | |
부천시 | 도시농업과 동물보호팀 | 032-625-2807 | |
화성시 | 축산과 동물보호팀 | 031-5189-6381 | |
안산시 | 농업정책과 반려동물팀 | 031-481-3391 | |
남양주시 | 농축산지원과 동물복지팀 | 031-590-2324 | |
안양시 | 식품안전과 축산방역팀 | 031-8045-5423 | |
평택시 | 축산과 동물보호팀 | 031-8024-3808 | |
시흥시 | 축수산과 동물복지팀 | 031-310-2247 | |
파주시 | 동물자원과 동물보호팀 | 031-940-4824 | |
의정부 | 시도시농업과 축산방역팀 | 031-828-4082 | |
김포시 | 축수산과 동물위생팀 | 031-980-2893 | |
광주시 | 농업정책과 동물방역팀 | 031-760-4419 | |
광명시 | 도시농업과 동물복지팀 | 02-2680-6446 | |
군포시 | 지역경제과 농업가축방역팀 | 031-390-0311 | |
하남시 | 도시농업과 동물방역팀 | 031-790-5302 | |
오산시 | 농식품위생과 농축산방역팀 | 031-8036-7643 | |
양주시 | 축산과 동물방역팀 | 031-8082-7361 | |
이천시 | 축산과 동물보호팀 | 031-644-2612 | |
구리시 | 기업지원과 농업지원팀 | 031-550-2321 | |
안성시 | 축산정책과 가축질병위기대응팀 | 031-678-5493 | |
포천시 | 축산과 축산위생팀 | 031-538-3883 | |
의왕시 | 도시농업과 동물보호팀 | 031-345-2383 | |
양평군 | 축산과 동물보호팀 | 031-770-2337 | |
여주시 | 축산과 동물보호팀 | 031-887-3202 | |
동두천시 | 농업축산위생과 축산유통팀 | 031-860-2322 | |
가평군 | 축산유통과 동물복지팀 | 031-580-4748 | |
과천시 | 공원농림과 동물보호팀 | 02-3677-2313 | |
연천군 | 축산과 동물방역팀 | 031-839-2326 |
'집사라면 알아야 할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로드킬 동물을 발견했을 때 대처 요령 로드킬 예방 수칙 (0) | 2022.11.18 |
---|---|
반려동물도 같이 대중교통을 탈 수 있나요? 기차 비행기 버스 이용 방법 (0) | 2022.11.16 |
반려동물 가족을 위한 재난 대응 가이드라인 (0) | 2022.11.06 |
반려동물과 함께 대피하기 위한 계획 세우기 (0) | 2022.11.06 |
대피소 못 들어가는 반려동물, 우리 애는 어떡하지? (0) | 2022.11.04 |
댓글